본문 바로가기
Today I Learned/Dev

[DEV] DHCP

by dbs_ 2025. 7. 27.

 

DHCP란

  •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동적 호스트 설정 프로토콜
    • 역할 :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주소 등을 자동으로 할당.
    • 자동으로 설정해주기 때문에, 사용자가 일일이 IP를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 집이나 회사에서 와이파이만 연결하면 인터넷 되는 것, 다 DHCP 덕분.
    • IP 충돌 방지, 관리 편의성, 확장성에서 매우 유리.

 

동작 방식

단계 메시지명 설명
1단계 DHCPDISCOVER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에 접속하면서, DHCP 서버를 찾음
2단계 DHCPOFFER DHCP 서버가 사용 가능한 IP와 설정값을 제안함
3단계 DHCPREQUEST 클라이언트가 특정 제안에 대해 요청
4단계 DHCPACK 서버가 최종적으로 IP 할당을 승인함

 

(예시)

  1. 노트북(클라이언트)을 회사 와이파이에 연결
  2. 노트북이 DHCPDISCOVER 전송 (브로드캐스트) - IP 주소 좀 주세요
  3. 회사 라우터(공유기)가 DHCPOFFER로 IP 제안 - 이 IP 어때
  4. 노트북이 DHCPREQUEST로 제안 수락 - 그거 쓸게요
  5. 라우터가 DHCPACK으로 임대 완료 (24시간 임대) - 오케이 이 IP 줄게

 

DHCP가 할당해주는 정보는?

설정 정보 설명
IP 주소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주소
서브넷 마스크 같은 네트워크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
게이트웨이 외부 네트워크로 나갈 때 사용할 라우터 주소
DNS 서버 도메인 이름(google.com)을 IP로 바꿔주는 서버
임대 시간 (Lease Time) 이 IP를 사용할 수 있는 유효 시간

 

'Today I Learned >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 Tomcat 서버를 윈도우 서비스로 등록  (2) 2025.07.31
[DEV] XSS  (2) 2025.06.12
[DEV] MCP(Model Context Protocol)  (1) 2025.05.09
[DEV] curl  (0) 2025.03.30
[DEV] SBOM에 대하여  (0) 202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