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미지명 규칙
- 레지스트리주소/프로젝트명/이미지명:이미지태그
- 레지스트리 주소
- 어떤 레지스트리 사용할지 결정
- 도커 허브말고도 다른 종류의 레지스트리를 사용할 수 있으니까
- 비워져있을 때는 기본 레지스트리인 docker.io (도커허브) 주소가 기본값이 된다.
- 프로젝트명
- 비워져있을 때는 도커가 검증한 오피셜 이미지들이 속해있는 library가 기본값이 된다.
- 그러므로 프로젝트명을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공식 이미지를 다운받게 된다.
- 이미지태그
- 이미지 버전을 뜻함
- 숫자와 영문 모두 사용 가능
- 비워져있을 때는 최신버전을 의미하는 latest가 기본값이 된다.
- 레지스트리 주소
2. 이미지 종류
- Docker OFFICIAL IMAGE
- 도커 오피셜 인증 이미지
- VERIFIED PUBLISHER
- 도커 직접 관리는 아니지만 영향력있는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인증한 이미지
3. 도커허브
도커허브에서 pull 받기
- docker pull 이미지명
- docker tag 기존이미지명 추가할이미지명
- 새로운 이름으로 추가하기
- docker push 이미지명
- docker push 레지스트리계정명/이미지:태그
도커허브 인증하기
- docker login
- 이미지 레지스트리 인증 정보 생성
- cat ./docker/config.json - 인증정보 경로
- 이미지 레지스트리 인증 정보 생성
- docker logout
- 이미지 레지스트리 인증 정보 삭제
- docker image rm 이미지명
- 로컬 스토리지의 이미지 삭제
- 먼저 로컬 스토리지에 이미지가 있는지 확인해서 그걸 불러오고, 없으면 도커허브 같은 곳에서 찾는다
- 로컬 스토리지의 이미지 삭제
허브에 있는 이미지를 사용해서 컨테이너 실행
- docker run -d -p 80:80 --name 지정하는이름 레지스트리계정명/이미지:태그
- 실습 컨테이너 테스트 실행
- docker rm -f 컨테이너명
- 실습 컨테이너 삭제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Postgres 컨테이너 실행 에러: initdb not found (1) | 2024.11.07 |
---|---|
[Docker] Tomcat 컨테이너 실행 에러 cannot find setclasspath.sh (4) | 2024.11.01 |
[Docker] Docker 컨테이너 실행 오류 Failed to Setup IP Tables (1) | 2024.11.01 |
[Docker] 명령어 정리 (4) | 2024.10.27 |
[Docker] 도커 이미지 파일 변환 (2) | 202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