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 기술은 현대 IT 환경의 핵심 기술로, 물리적인 컴퓨터 자원을 논리적으로 나누어 사용하거나 새로운 컴퓨팅 환경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번에는 가상화 기술이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 등에 대해 작성해보려고 한다.
가상화 기술이란?
가상화 기술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컴퓨터 환경을 마치 존재하는 것처럼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 하나의 물리적 컴퓨터에서 여러 대의 가상 컴퓨터를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술을 통해 물리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독립적인 운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왜 가상화 기술이 필요할까?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할 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설치 및 운영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가령 아래의 같은 상황들이 발생할 수 있다.
1) 운영 중인 프로그램 하나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2) 운영 중인 프로그램 하나에서 사용량이 급증했을 때
프로그램이 갑자기 오류가 나거나 과도한 리소스를 사용하면, 나머지 프로그램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운영 체제(OS)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대신 가상화 기술을 사용해야한다.
가상화 기술을 통해 한 대의 물리적 컴퓨터에서 논리적 컴퓨터 환경을 독립적으로 만들어서 각각의 프로그램을 따로 실행할 수 있다. 정리를 해보자면,,
특징
- 논리적인 컴퓨터 환경 제공 : 물리적 하드웨어 위에 여러 가상 운영 체제나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생성 할 수 있다
- 리소스 분배 가능 : 사용자가 각 가상 환경에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를 설정할 수 있다
- 안전성과 효율성 : 프로그램 간 충돌을 방지하고 리소스 과부하 문제를 완화해준다
가상화 기술의 작동 방식
주요 원리를 간단히 적어보면 아래와 같다.
- 가상화 기술은 물리적인 컴퓨터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논리적인 컴퓨터 환경(가상 머신 또는 컨테이너)을 생성한다.
- 사용자는 각 논리적 환경에 독립적으로 리소스를 분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래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 비용 절감 : 한 대의 물리적 컴퓨터로 여러 대의 가상 컴퓨터를 생성해 하드웨어 구매 비용 절감
- 운영 효율성 : 물리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독립적인 운영 환경을 보장
- 유연성 제공 : 다양한 소프트웨어 환경에서 테스트와 운영을 병행 가능
가상화 기술의 유형은 크게 최근에 간단히 작성한 하이퍼바이저 방식과 컨테이너 방식으로 나뉘는데 자세한 설명은 다음편에 이어서 하겠다.
'Today I Learned >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SOP에 관하여 (4) | 2024.12.29 |
---|---|
[DEV] 마스커레이드(Masquerade)에 관하여 (2) | 2024.12.23 |
[Server]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의 서버 운영 방식 (1) | 2024.12.08 |
[IDE] Intellij 와일드카드 import 방지 (2) | 2024.10.20 |
[정규식] ip 정규식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