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day I Learned/Dev

[SonarQube] 도커를 통한 SonarQube 설치 및 기본 설정

by dbs_ 2025. 1. 12.

 

 

이번에는 Docker를 활용해 SonarQube를 설치하고, 간단한 기본 설정을 진행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Docker를 이용하면 설치와 관리를 빠르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니, 처음 SonarQube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특히 추천한다.

 

1. SonarQube 도커 설치

(공식 가이드 참조 : SonarQube 설치에 대해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다면 SonarQube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자)

1. 도커 이미지 다운로드
아래 명령어로 SonarQube 이미지를 다운로드한다.

# 이미지 가져오기
docker pull sonarqube

# 이미지 목록 확인
docker images

태그는 community, latest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생략하면 기본적으로 최신 버전을 가져온다.

2. 컨테이너 실행
다운로드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SonarQube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d --name sonarqube -p 9000:9000 sonarqube
 
  • -d : 백그라운드 실행.
  • --name : 컨테이너 이름 설정.
  • -p 9000:9000 : 로컬 포트(9000)와 컨테이너 내부 포트(9000)를 매핑.
 
 

2. SonarQube 접속

1. 웹 인터페이스 접속
브라우저에서 해당 URL로 접속한다 : http://localhost:9000

2. 기본 관리자 계정
초기 접속 시 기본 관리자 계정을 사용한다. 
id : admin
pw : admin

3. 메인 화면 

로그인 이후의 메인 화면은 아래와 같다. 나는 몇개를 이미 연결시켜두었다.

 

3. 프로젝트 생성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위 이미지의 'Create Project'를 클릭해야한다. 

프로젝트 연결하기

데브옵스 플랫폼, 로컬의 프로젝트를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

프로젝트 이름과 키, 메인 브랜치를 선택한다. 
프로젝트 이름 이때 생성하면 수정을 못하는 것 같다.. 브랜치도..

토큰 이름과 만료일을 설정하여 '프로젝트 토큰'을 생성한다.  

그 후에 저렇게 자신의 빌드툴에 맞는 명령어를 커맨드라인에 입력한다.
나는 maven을 사용하니까 프로젝트 위치에서 powershell을 열고 입력을 하였다. 

'Today I Learned >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g] 로그레벨  (2) 2025.01.26
[CS] ISO 파일  (2) 2025.01.19
[SonarQube] SonarQube란 무엇일까  (0) 2025.01.10
[FCM] Firebase Cloud Messaging에 대하여  (1) 2025.01.06
[CS] BIOS에 관하여  (0) 2025.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