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ㅇ
[Log] 로그레벨 본문
반응형

로그 레벨이란?
로그 레벨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중요도에 따라 구분하여 기록하는 기준이다. 로그 레벨을 적절히 설정하면, 불필요한 로그나 알람을 줄이고 긴급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다. 특히, 로그는 시스템 모니터링과 문제 해결의 핵심 도구이기 때문에, 레벨별 역할과 사용 방법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로그 레벨과 활용
- DEBUG
- 용도 : 개발 환경에서 내부 로직 흐름을 추적하거나, 디버깅 시 세부 정보를 확인할 때 사용.
- 특징 : 너무 많은 로그를 남길 수 있으므로 운영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비활성화.
- 예시 : 메서드 호출 순서, 파라미터 값 확인 등.
- INFO
- 용도 : 애플리케이션의 정상 동작과 주요 이벤트를 기록.
- 특징 : 운영 환경에서도 남기는 경우가 많으며, 시스템 상태 파악 및 장애 추적에 도움.
- 예시 : 시스템 시작, 주요 작업 완료 로그 등.
- WARN
- 용도 : 잠재적 문제나 예상치 못한 상황을 알리지만, 즉각적인 오류는 아닐 때 사용.
- 특징 : 치명적이지 않은 경고 상황을 기록해 문제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
- 예시 : 잘못된 사용자 입력(형식 불일치, 누락), 외부 API 호출 실패 등.
- ERROR
- 용도 : 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즉각적인 문제를 기록.
- 특징 : 빠른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 대한 알람을 생성.
- 예시 : 결제 실패, DB 연결 오류 등.
WARN과 ERROR를 명확히 구분해야 하는 이유
- 효율적인 모니터링 : ERROR 로그는 즉각적인 알람이 필요한 긴급 상황에만 사용하고, 비교적 덜 중요한 문제는 WARN으로 처리해 알람 피로도를 줄임.
- 외부 API 호출 사례
- WARN : 네트워크 지연 등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오류.
- ERROR : 결제 API 실패 등 비즈니스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오류.
- 사용자 입력 오류 사례
- WARN : 필수 정보 누락, 형식 오류 등 경미한 문제.
- ERROR : 다섯 번 연속 실패로 계정이 잠기는 상황.
로그 레벨 설정 기준 예시
- INFO 모니터링 : INFO 로그의 증가나 감소가 이전 대비 크면 시스템 이상 가능성 확인.
- WARN 로그 감시 : WARN 로그가 분당 20건 이상 발생하면 알람을 설정해 문제를 예의주시.
- ERROR 로그 감시 : ERROR 로그가 분당 5건 이상 발생하면 즉시 알람 및 대응.
정리
로그 레벨은 시스템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핵심 도구다. 적절한 로그 레벨 설정으로 불필요한 알람은 줄이고, 중요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게 중요할 것 같다.
반응형
'Today I Learn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Tomcat > bin 디렉터리의 주요 파일 설명 (0) | 2025.02.11 |
---|---|
[Tool] Stirling-PDF 설치 (0) | 2025.02.09 |
[CS] ISO 파일 (0) | 2025.01.19 |
[Java] normalize() 메서드 (0) | 2025.01.17 |
[SonarQube] 도커를 통한 SonarQube 설치 및 기본 설정 (0) |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