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관리 메뉴

ㅇ.ㅇ

[Log] 로그레벨 본문

Today I Learned

[Log] 로그레벨

yun_ 2025. 1. 26. 23:11
반응형

 

 

로그 레벨이란?

로그 레벨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중요도에 따라 구분하여 기록하는 기준이다. 로그 레벨을 적절히 설정하면, 불필요한 로그나 알람을 줄이고 긴급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다. 특히, 로그는 시스템 모니터링과 문제 해결의 핵심 도구이기 때문에, 레벨별 역할과 사용 방법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로그 레벨과 활용

  1. DEBUG
    • 용도 : 개발 환경에서 내부 로직 흐름을 추적하거나, 디버깅 시 세부 정보를 확인할 때 사용.
    • 특징 : 너무 많은 로그를 남길 수 있으므로 운영 환경에서는 일반적으로 비활성화.
    • 예시 : 메서드 호출 순서, 파라미터 값 확인 등.
  2. INFO
    • 용도 : 애플리케이션의 정상 동작과 주요 이벤트를 기록.
    • 특징 : 운영 환경에서도 남기는 경우가 많으며, 시스템 상태 파악 및 장애 추적에 도움.
    • 예시 : 시스템 시작, 주요 작업 완료 로그 등.
  3. WARN
    • 용도 : 잠재적 문제나 예상치 못한 상황을 알리지만, 즉각적인 오류는 아닐 때 사용.
    • 특징 : 치명적이지 않은 경고 상황을 기록해 문제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
    • 예시 : 잘못된 사용자 입력(형식 불일치, 누락), 외부 API 호출 실패 등.
  4. ERROR
    • 용도 : 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 즉각적인 문제를 기록.
    • 특징 : 빠른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 대한 알람을 생성.
    • 예시 : 결제 실패, DB 연결 오류 등.

 

 

WARN과 ERROR를 명확히 구분해야 하는 이유

  • 효율적인 모니터링 : ERROR 로그는 즉각적인 알람이 필요한 긴급 상황에만 사용하고, 비교적 덜 중요한 문제는 WARN으로 처리해 알람 피로도를 줄임.
  • 외부 API 호출 사례
    • WARN : 네트워크 지연 등 빈번히 발생할 수 있는 오류.
    • ERROR : 결제 API 실패 등 비즈니스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오류.
  • 사용자 입력 오류 사례
    • WARN : 필수 정보 누락, 형식 오류 등 경미한 문제.
    • ERROR : 다섯 번 연속 실패로 계정이 잠기는 상황.

 

로그 레벨 설정 기준 예시

  1. INFO 모니터링 : INFO 로그의 증가나 감소가 이전 대비 크면 시스템 이상 가능성 확인.
  2. WARN 로그 감시 : WARN 로그가 분당 20건 이상 발생하면 알람을 설정해 문제를 예의주시.
  3. ERROR 로그 감시 : ERROR 로그가 분당 5건 이상 발생하면 즉시 알람 및 대응.

 

정리

로그 레벨은 시스템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핵심 도구다. 적절한 로그 레벨 설정으로 불필요한 알람은 줄이고, 중요한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게 중요할 것 같다. 

 

 

반응형